성경 말씀 썸네일형 리스트형 풍성한 삶의 기초 (3. 하나님 알아가기) 디모데후서 3장 16 ~ 17절 그리스도인은 하나님을 알아가며 그 분과 친밀해지는 삶을 살아가야 한다. 우리가 그런 삶을 살아간다면 어느 순간에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은혜들을 누릴 수 있게 된다. 1. 구원 이전과 이후 우리는 구원받기 이전의 나의 상태와 구원 이후의 나의 상태에 대해서 깊이 깨닫지 못하고 살아간다. 그것은 구원이 얼마나 놀라운 사실인지 그 가치를 모르기 때문이다. 1) 구원 이전의 삶 에베소서 2:1~3 새 번역) 여러분도 전에는 허물과 죄로 죽었던 사람들입니다. 그때에 여러분은 허물과 죄 가운데서, 이 세상의 풍조를 따라 살고, 공중의 권세를 잡은 통치자, 곧 지금 불순종의 자식들 가운데서 작용하는 영을 따라 살았습니다. 우리도 모두 전에는, 그들 가운데에서 육신의 정욕대로 살고, 육신.. 더보기 풍성한 삶의 기초 (2. 성경적 믿음의 원리) 에베소서 2장 8~9절 믿음으로 사는 것은 어떻게 살아가는 것일까? 여러 가지 문제와 환경 속에서 어떻게 믿음으로 승리할 수 있을까? 1. 믿음의 본질 에베소서 2:8) 너희가 그 은혜를 인하여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었나니 이것이 너희에게서 난 것이 아니요 하나님의 선물이라이 말씀을 통해 구원은 은혜와 믿음으로 얻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은혜는 무엇일까? 은혜는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허락하신 모든 것을 의미한다. 그중에서 가장 큰 은혜는 바로 우리를 구원하신 은혜, 즉 예수 그리스도이다. 그렇다면 믿음은 무엇일까? 첫 번째로 믿음은 믿음의 대상이신 하나님을 믿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자면,히브리서 11:16) 믿음이 없이는 기쁘시게 못하나니 하나님께 나아가는 자는 반드시 그가 계신 .. 더보기 풍성한 삶의 기초 (1.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의 의미) 요한복음 1장 12 ~ 13절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그리스도인으로서 어떤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 알아보자. 1. 그리스도인이 되는 것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아래와 같은 네 가지 진리를 받아들이고 반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1) 하나님은 주인창세기 1장을 보면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셨다고 기록하고 있다. 하나님께서 이 모든 것을 창조하시고 주인이시다는 말씀을 믿는 것이 바로 신앙의 출발점이다. 이 말씀을 믿지 않는다면, 그 이후의 여러 말씀이 의미를 가질 수 없다. 2) 우리는 죄인인간도 하나님의 창조물 중의 하나인데, 첫 인간, 즉 아담과 하와가 하나님의 주인 되심을 거부했다. 그들은 하나님처럼 되고자 선악과를 따먹었다. 스스로 주인 되었고, 이것이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죄이다. 또.. 더보기 은혜 그 이후 역대하 32장 27 ~33절 본문의 히스기야 왕은 다윗 왕만큼이나 신실했던 왕이었다. 그래서 그의 시대는 부귀와 영화가 가득했다. 역대하 32:27) 히스기야가 부와 영광이 지극한지라... 그러나 그의 말년은 하나님 보시기에 좋지 않았다. 죽을 위기에서도 하나님께서 15년의 생명을 연장시켜 주셨지만, 그는 하나님의 은혜에 보답하는 삶을 살기보다는 자신의 평안과 안녕만을 위해서 살아갔다. 그 결과 그의 아들 므낫세가 왕이 되었는데, 그는 이스라엘 왕 중에서도 아합왕과 함께 가장 악한 왕 중에 한 명이었다. 이 므낫세 이후부터 하나님은 급속히 유다백성들로부터 떠나게 되었다. 도대체 신실했던 히스기야 왕은 말년에 왜 이렇게 되었던 것일까? 그것은 그를 되돌리기 위한 하나님의 계속되는 사인들을 그가 무시했기 때.. 더보기 같은 마음 빌립보서 4장 1 ~ 7절 빌립보 교회 안에는 크고 작은 문제들이 있었다. 그중에서 가장 큰 문제는 사도바울의 동역자인 두 여성 유오디아와 순두게의 다툼이었다. 그로 인해서 교회 안에 파벌이 생기고 갈등이 심화되었다. 사도바울은 이런 교회의 갈등을 보면서 안타까워하며 그 해결책으로 같은 마음을 품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같은 마음을 품는 것이 공동체를 세우는 길이고 또 신앙인의 자세임을 말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어떻게 하면 같은 마음을 품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1. 주 안에서 기뻐하라 공동체 안에서 다툼은 왜 생기는 것일까? 서로의 생각이 모두 다르고 상대방이 내 생각대로 움직여 주지 않을 때 이를 받아들이지 못할 수도 있다. 혹은 내면의 상처가 있는 사람들이 그것을 극복하지 못하고.. 더보기 그에게까지 자랄지라 에베소서 4장 11 ~ 16절 우리의 신앙은 성장해야 한다. 사도바울은 영적으로 미성숙한 사람들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고린도전서 3:1~3) 형제들아 내가 신령한 자들을 대함과 같이 너희에게 말할 수 없어서 육신에 속한 자 곧 그리스도 안에서 어린아이들을 대함과 같이 하노라 내가 너희를 젖으로 먹이고 밥으로 아니하였노니 이는 너희가 감당하지 못하였음이거니와 지금도 못하리라 너희는 아직도 육신에 속한 자로다 너희 가운데 시기와 분쟁이 있으니 어찌 육신에 속하여 사람을 따라 행함이 아니리요영적으로 미성숙한 사람들은 몇 가지 특징이 있는데, 마치 아이와 같아서 늘 다른 사람들의 도움이 필요하고 또 신령한 것들을 받지 못한다. 즉, 하나님께서 주시는 풍성한 것들을 누리지 못한다. 그리고 반복적으로 죄를 .. 더보기 작은 결심, 위대한 변화 (5. 사명) 느헤미야 1장 1 ~ 7절 이스라엘이 멸망하고 많은 사람들이 바벨론의 포로로 끌려가게 되었다. 그리고 2세들이 태어나게 되는데 그중의 한 사람이 본문의 느헤미야이다. 그럼에도 그는 크게 출세하여 왕의 곁에서 술을 관리하는 일을 하였다. 여기서 우리가 주의 깊게 살펴볼 점은 그의 관심사이다. 그의 관심은 포로로 끌려오지 않았던 사람들 혹은 귀환했던 사람들, 즉 예루살렘에서 고통받고 있는 백성들에게 있었다. 느헤미야는 그들의 상황에 마음 아파했고 그들을 위해서 무언가 하고자 했다. 하나님께서는 그의 마음과 결심을 기뻐하시고 그를 이스라엘 재건의 중추적 도구로 크게 사용하셨다. 본문은 우리가 어떤 환경가운데 있을지라도 우리의 마음이 어디를 향하는지, 우리의 관심이 어떤 것에 있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떤 결심을.. 더보기 작은 결심, 위대한 변화 (4. 순종) 출애굽기 3장 7~14절 본문에서 하나님께서는 모세를 이스라엘 백성들을 구원할 사명자로 부르시고 계신다. 처음에 모세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이를 거절했었다. 모세의 인생을 살펴보면, 그가 하나님의 은혜로 애굽의 왕자로 자랐으나 고통받는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서 살인을 저지르게 되었고 이에 미디안 광야로 도망가 그곳에서 40년을 목동의 신분으로 살았다. 이제 그가 노년을 평안히 보내려면 가급적 이스라엘이나 애굽과 관련된 일은 피해야 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결국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하여 하나님의 사명자로서의 인생을 살았다. 우리가 하나님의 뜻을 알게 되었을 때, 때로는 그것이 순종하기 힘들 때가 있다. 그럼에도 모세처럼 순종을 결심하고 그 결심대로 살아가는 것이 필요하다. 1. 애굽으로 가는 결심 출애..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12 다음